Surprise Me!

[자막뉴스] '코로나바이러스' 바늘로 100번 찌르자 나타난 현상 / YTN

2020-09-20 24 Dailymotion

헝가리 세멜바이스대 연구팀이 코로나바이러스 입자가 바늘로 찌르면 터지는지를 실험했습니다. <br /> <br />연구팀은 미세바늘로 코로나바이러스 입자를 끝에서 끝까지 찔렀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모양만 찌그러질 뿐 바늘을 빼면 다시 원래대로 복구됐습니다. <br /> <br />연구팀은 100번이나 같은 작업을 했지만 코로나바이러스는 온전한 모양을 유지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에는 코로나바이러스 입자에 90도의 열을 10분간 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역시 원형의 모양이 조금 바뀌었을 뿐 거의 영향이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날씨가 더워지면 코로나바이러스가 사라질 것이라는 전망이 왜 빗나갔는지를 잘 설명해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연구팀은 코로나바이러스 표면에 있는 '스파이크 단백질'이 열에 그을리면 일부 떨어져 나갔지만 전체적인 구조는 온전한 상태를 유지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바이러스는 스파이크 단백질을 통해 숙주 세포에 침입하는데, 그 수는 지금까지 다양하게 보고됐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 칭화대 연구팀은 26개, 영국 케임브리지대 연구팀은 24개,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는 40개가 있다고 보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세멜바이스대 연구팀은 그보다 많은 61개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발견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이는 코로나바이러스의 스펙트럼이 생각보다 넓을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코로나바이러스가 지금껏 알려진 바이러스 중 최고의 탄성을 지니고 있을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"놀라운 자가 치유력은 이 바이러스가 광범위하게 다른 환경에서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 같다"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형근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ㅣ김성환 <br />그래픽ㅣ박유동 <br />자막뉴스 제작ㅣ이 선 에디터 <br /> <br /> <br />#코로나바이러스 #코로나19 #연구결과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00920185936106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